학문적 글쓰기에서 서론은 연구의 핵심을 압축하고 독자의 관심을 끄는 중요한 부분입니다. 대학원생이 서론 작성 시 주의해야 할 점과 교수들이 자주 지적하는 포인트를 정리하고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서론 작성 시 주의할 점 & 교수들의 주요 지적 사항
(1) 연구 배경 및 문제 제기 부족
- 지적 포인트: "왜 이 주제를 연구해야 하는지 명확하지 않다."
- 조언:
- 기존 연구의 한계를 명확히 지적하세요. 예: "선행연구는 X에 집중했으나, Y 변수의 영향은 간과되었다."
- 사회적/학문적 필요성을 강조하세요. 예: "기후 위기 대응을 위해 A 정책의 효과 검증이 시급하다."
(2) 연구 목적과 의의의 모호함
- 지적 포인트: "이 연구가 어떤 차별점을 갖는지 알 수 없다."
- 조언:
- 목적문을 한 문장으로 명료화하세요. 예: "본 연구는 Z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."
- 의의를 이론적·실용적 차원에서 구체화하세요. 예: "이 결과는 X 분야의 방법론적 다양성을 확장하고, 현장에서 B 문제 해결에 기여할 것이다."
(3) 논문 구조 소개 생략
- 지적 포인트: "논문이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할 수 없다."
- 조언:
- 서론 말미에 논문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세요. 예: "2장에서는 문헌 고찰을, 3장에서는 실험 설계를, 4장에서는 결과를 제시한다."
(4) 지나치게 광범위한 서론
- 지적 포인트: "집중해야 할 문제가 흐려진다."
- 조언:
- 연구 범위를 명시적으로 한정하세요. 예: "본 연구는 2010년 이후 한국의 도시 재개발 사례에 한정해 분석한다."
(5) 학문적 어조 미달
- 지적 포인트: "주장이 불확실해 보인다."
- 조언:
- 적극적인 서술을 사용하세요. 예: "본 연구는 X가 Y에 미치는 영향을 입증한다" (O) / "X가 Y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" (X)
2. 예시: 서론 초안 vs. 수정본
[초안 – 문제점]
"최근 AI 기술이 발전하면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. AI는 교육,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. 이 연구는 AI의 영향에 대해 분석하려고 한다. 여러 데이터를 수집해 결과를 도출할 예정이다."
- 지적 사항:
- 연구의 구체적 목적과 차별점 부재.
- 분석 대상과 범위가 모호함.
[수정본]
"인공지능(AI)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교육 분야에서 개인화 학습 시스템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으나, 이러한 도입이 교사-학생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(XX et al., 2022). 본 연구는 AI 기반 학습 플랫폼 도입 후 중학교 교실에서 발생하는 상호작용 패턴의 변화를 질적 사례 연구로 분석함으로써, 기술 도입의 잠재적 한계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. 이를 위해 2020~2023년 서울 소재 3개 중학교의 교사-학생 대화 자료를 비교 분석할 예정이다. 이 연구는 AI 기술의 교육적 적용이 인간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논의를 확장할 것으로 기대된다."
- 개선 포인트:
- 기존 연구 간극 제시 → 연구 목적 명확화 → 구체적 범위 제한 → 학문적·실용적 의의 강조.
3. 종합 조언
- "5C 원칙"을 기억하세요:
- Context (맥락): 연구 배경을 논리적으로 구성.
- Conflict (문제): 기존 연구의 한계 또는 현실적 문제 제기.
- Contribution (기여): 본 연구가 채우는 갭 강조.
- Clarity (명확성): 용어 정의와 범위를 명시.
- Concision (간결성): 불필요한 정보는 과감히 생략.
서론은 독자에게 연구의 가치와 방향을 각인시키는 첫인상입니다. 위 포인트를 참고해 핵심 메시지를 잃지 않으면서도 간결하게 작성해 보세요!